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lasticsearch
- 프로그래머스
- 캐시
- 알고리즘
- docker
- Spring
- IT
- 도커
- 개발자
- Linux
- Python
- 운영체제
- Kakao
- 자바
- DPDK
- 스프링부트
- 파이썬
- 카카오
- programmers
- 엘라스틱서치
- C
- 리눅스
- 네트워크
- 코딩테스트
- 쿠버네티스
- Java
- 백엔드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IT #코딩테스트
- springboot
- 스프링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85)
저고데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870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들어가며 개인적으로 애를 많이 먹은 문제이다. 해당 문제는 n의 갯수가 10개 이하로 느낌이 오듯이 완전 탐색 문제인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하지만 테스트 케이스 19번부터는 시간 초과가 발생하기에 효율성도 같이 신경을 써야한다. 문제 풀이 방법 1. 먼저, A와 B가 주사위를 반틈 나눠 가질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모두 한다. (combinations 라이브러리 사용) 2. 그리..
들어가며항상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들 때마다 궁금한 점이 하나 있었다. 지금은 나 혼자만 사용하고 테스트하는 서비스이지만, 만약에 수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에 접속하면 어떻게 될까? MVC 패턴으로 서비스를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구성했을 때, 여러 개의 HTTP 프로토콜이 온다면 Controller와 같은 객체도 과연 요청 갯수만큼 생성될지 궁금했다. 이번 시간에는 해당 궁금증에 대한 답변과 그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결론은Controller와 같은 객체도 요청 갯수만큼 생성될까? 정답은 NO!이다.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요청 갯수만큼 객체가 생성된다면 사용되는 자원의 양이 어마무시하게 많아질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Naver와 같이 대규모 트래픽이 밥 ..
들어가며(주제와 관련이 없는 아이스 브레이킹과 같은 이야기니, 넘어가셔도 좋습니다.)스프링을 처음 접했던 시기는 올해 1월달이었다.그 당시에는 누군가의 강의를 듣는 것보다는 책으로 접하는 것이 다 낫겠다라고 판단하여, O'Reilly사의 책으로 학습을 진행했었다.하지만, 저자가 외국인 점도 그렇고 코드와 글로만을 통해서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은 그렇게 쉽지 않은 일이었다. (더군다나, REST ful API와 같이 기본적인 백엔드 지식도 제대로 모르는 상황이었으니 말이다.)책과 블로그들을 통해 혼자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며, 전전긍긍하다가 "그래도 이정도면 1인분은 하지 않을까? 기본적인 내용은 안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 때쯤 내 위치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서 지난 3월달부터 김영한님의 강의를 ..

들어가며 우선 VSCode를 사용 중일때의 해결 방법이다. 위와 같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pip를 통해 다운로드 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듈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터미널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해당 라이브러리는 이미 다운로드 된 상태이고 해당 경로로 들어가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결방법 위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pip install을 통해서 라이브러리를 다운 받으면 "python3.11"에 저장된다. (이는 python의 환경변수를 통해서 변경이 가능하다.) VSCode의 오른쪽 아래 부분에 "3.12.2 64-bit"가 보이는가? 이는 현재 작업중인 Python 환경의 정보이다. 그리고 현재 작업중인 환경의 경로인 "/opt/homebrew/lib/python3"..
들어가며 오늘은 그래프 자료구조에서 자주 사용되는 알고리즘인 플로이드 와샬과 다익스트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필자가 느꼈을 때, 유독 그래프와 관련된 알고리즘의 종류가 많은 것 같다.이는 그래프라는 자료구조가 범용성이 넓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트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기에 그에 맞게 종류가 많은 듯하다.따라서, 그래프에 대해서 개념을 잘 잡아야할 필요가 있으며, 그래프의 원리로 탄생한 대표적인 알고리즘 역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어느 상황에서 사용할까 기술 블로그를 작성하면서 항상 하는 말이 있다.이거 왜 쓰는 가?무엇이든지 필요없는 것은 사용되지 않기 마련이다.그리고 둘 중에서 하나가 압도적으로 성능이 좋더라면 굳이 두 개를 동시에 배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글을 작성하는 건 정말 오랜만인 것 같다. 아무래도, 최근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고 있어서 그런가. 볼일도 많고 자료를 알아보니 거의다 예전 자료들 밖에서 없어서 최근에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을 전달하고자 오랜만에 작성해보려고 한다. 이진 탐색은 무엇인가 이진 탐색은 정렬된 리스트에서 검색 범위를 줄여 나가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래서 이거 왜 쓰는데? 국어 사전을 살펴본다고 가정하자. (지금은 잘 쓰지 않지만) "사랑"이라는 단어를 찾아본다고 할 때, 우선 "ㅅ"에 해당하는 파트로 이동해야한다. 그리고 우연히 찾은 페이지가 "소나무"라면 그보다 앞으로 더 이동해서 "사랑"을 찾아야한다. 이런식으로 내가 원하는 단어와 현재 단어의 순서를 비교하며 찾아간다는 점이 유..